(서울=포커스뉴스)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장벽을 갈수록 높여가고 있는 가운데, 시장을 잃을 위기에 처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판로 변경 등을 검토하며 돌파구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중국에서 생산한 물량을 유럽 등 다른 지역으로 수출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이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한데다, 한반도 사드배치 결정에 대한 노골적인 보복을 이어가고 있는 등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세계 최대의 배터리 시장인 중국을 포기할 수 없는 만큼 현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도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에 배터리 공장을 갖고 있는 LG화학과 삼성SDI는 생산한 배터리를 현지에서 판매하는 것 뿐 아니라 유럽 등 기타 지역으로 판로를 확대‧변경하려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사실상 한국 업체의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시사함에 따라 그야말로 발등에 불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유럽 등 다른 지역으로 판매하는 것을 계속 고려하고 있고 검토도 하고 있다"며 "현 상황에서 나름대로 새로운 판로를 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LG화학의 경우 이웅범 사장이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국내 업체의 전기차 배터리가 중국에서 사실상 판매금지 조치가 됐다'는 지적에 "다른 방법을 찾아야한다. 우리 내부적으로는 그냥 그쪽(중국)에서 생산해서 다른 지역에 팔자(고 하고 있다)"고 직접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LG화학 관계자는 판로 변경 여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여러 가능성을 열어둔 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에서 판매를 못할 경우) 다른 판로를 찾는다는 뜻이었다"면서 "중국은 중국대로 집중하되 다른 여러 방안도 모색 중인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했다.
다만 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현재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냥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면서다. 이에 중국 정부의 보조금과 관계없는 차종에 쓰이는 배터리에 더 집중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한 업체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과 상관없는 일부 차들이 있어서 그런 쪽으로 뚫어보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기대하기 어렵지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앞서 중국 공업신식화부는 지난달 29일 발표한 '신에너지 자동차 보조금 지급 차량 5차 목록'에 한국 업체의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 모델을 포함시켰다가 이를 번복한 바 있다. 이날 오전 발표된 목록에는 95개사 498개 차량 모델이 들어있었으나 오후엔 5개 모델이 빠진 493개로 수정된 것. 목록에서 빠진 차량들은 모두 LG화학‧삼성SDI의 배터리가 장착된 모델이었다.
그러자 업계에서는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의 보복이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 가시화 된 것 아니냐는 주장이 다수 제기됐다. 목록에 중국 정부의 인증을 받지 못한 중국업체의 배터리를 장착한 차종 50여개가 포함된 반면 한국산 배터리가 사용된 차종만 빠졌기 때문이다. 이전까지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을 보호하고자 외국 업체들의 시장 진입 자체를 차단하기 위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는 해석이 더 많았다.
게다가 중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기존보다 대폭 강화된 전기차 배터리 모범기준 개정안 의견수렴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수정안에는 △중국 내 리튬이온전지 연간 생산능력이 8GWh 이상일 것 △최근 2년 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것 등의 조건이 추가돼 기준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당시 중국 정부는 한 달여간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개정안을 확정 및 시행하겠다고 했으나 현재까지 이와 관련해서는 어떠한 추가적인 언급도 없는 상태다.
한편, 정부가 오는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1차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에서 한국산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차의 보조금 지원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향후 어떤 변화가 생기게 될 지 이목이 집중된다.
정부는 공동위원회에 대해 "발효 3년차가 된 한중 FTA를 활용해 우리 업계의 대중 수출을 지원하고 중국과의 통상 관게를 점검해 나갈 예정"이라며 "양국간 분야별 통상현안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국 정부가 직접 마주앉은 자리에서 배터리 이슈가 언급되는 만큼 보다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될 거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본사 협약 포커스 뉴스